책상ㆍTVㆍ청소기 구입시 2시간마다 환기
환경부,‘41개 생활용품 오염물질 방출량’평가
생활용품을 사들인 뒤 제대로 환기를 안할 경우 실내공기 오염도의 기준치에 3배나 치솟은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환경부가 용역을 의뢰한 ‘41개 생활용품 오염물질 방출량 평가’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책상과 의자, 서랍, 침대가 1개씩 있는 2.5평 규모 공부방에 시간당 환기율을 0.2회로 했을 때 실내공기 중 총 휘발성유기화합물(TVOC) 오염도가 1.5㎎/㎥까지 늘어나 권고기준치(0.5㎎/㎥)의 3배나 웃돌았다.
전자제품은 전원을 켠 상태의 TVOC 방출량이 전원을 끈 상태보다 최고 3배까지 증가했는데 이는 열 발생에 따른 방출 증가로 추정됐다.
프린터 인쇄시의 TVOC 방출량은 작동하지 않을 때보다 최고 6배까지 높아졌다.
TVOC 방출량은 전자제품 15종 평균 4.86±7.38㎎/h, 가구류 19종 평균 2.23±5.40㎎/h, 의류ㆍ장난감 등 7종 평균 0.047±0.098㎎/h로 전자제품의 방출량이 가장 심각했다.
제품당 포름알데히드(HCHO) 방출량은 프린터류가 0.163㎎/h로 가장 높고, 가구류 평균 0.157±0.297㎎/h, 전자제품 평균 0.056±0.098㎎/h, 기타제품 평균 0.0003±0.0007㎎/h로 비교적 가구류의 방출량이 많았다.
TVOC는 청소기 1종(1.03㎎/㎥), 프로젝션 TV 1종(0.51㎎/㎥)이 생활가전 기준치(0.5㎎/㎥)를 초과했고, 부엌가구 1종(0.28㎎/㎥)과 작은 탁자 1종(0.92㎎/㎥)은 가구류 기준치(0.25㎎/㎥)를 넘어섰다.
포름알데히드는 신발장 1종(0.036ppm)이 미국 그린가드 인증치를 훨씬 넘었다.
새 가구를 실내에 둘 경우 제품당 방출량은 다소 적더라도 제품수가 증가하고 환기가 자주 이뤄지지 못하면 실내공기 중 TVOC 오염도가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오염물질이 적은 원자재를 사용하고, 전자제품 사용시 열이 적게 발생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게 필요하다”고 전제한 뒤“관련 업계와 협의에 들어갔으며 소비자들에게는 가구나 전자제품을 새로 구입한 경우 오염물질이 실내에 축적되지 않도록 수시로 환기해 줄 것”을 주문했다.
* 출처 : 환경시사일보
환경부,‘41개 생활용품 오염물질 방출량’평가
생활용품을 사들인 뒤 제대로 환기를 안할 경우 실내공기 오염도의 기준치에 3배나 치솟은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환경부가 용역을 의뢰한 ‘41개 생활용품 오염물질 방출량 평가’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책상과 의자, 서랍, 침대가 1개씩 있는 2.5평 규모 공부방에 시간당 환기율을 0.2회로 했을 때 실내공기 중 총 휘발성유기화합물(TVOC) 오염도가 1.5㎎/㎥까지 늘어나 권고기준치(0.5㎎/㎥)의 3배나 웃돌았다.
전자제품은 전원을 켠 상태의 TVOC 방출량이 전원을 끈 상태보다 최고 3배까지 증가했는데 이는 열 발생에 따른 방출 증가로 추정됐다.
프린터 인쇄시의 TVOC 방출량은 작동하지 않을 때보다 최고 6배까지 높아졌다.
TVOC 방출량은 전자제품 15종 평균 4.86±7.38㎎/h, 가구류 19종 평균 2.23±5.40㎎/h, 의류ㆍ장난감 등 7종 평균 0.047±0.098㎎/h로 전자제품의 방출량이 가장 심각했다.
제품당 포름알데히드(HCHO) 방출량은 프린터류가 0.163㎎/h로 가장 높고, 가구류 평균 0.157±0.297㎎/h, 전자제품 평균 0.056±0.098㎎/h, 기타제품 평균 0.0003±0.0007㎎/h로 비교적 가구류의 방출량이 많았다.
TVOC는 청소기 1종(1.03㎎/㎥), 프로젝션 TV 1종(0.51㎎/㎥)이 생활가전 기준치(0.5㎎/㎥)를 초과했고, 부엌가구 1종(0.28㎎/㎥)과 작은 탁자 1종(0.92㎎/㎥)은 가구류 기준치(0.25㎎/㎥)를 넘어섰다.
포름알데히드는 신발장 1종(0.036ppm)이 미국 그린가드 인증치를 훨씬 넘었다.
새 가구를 실내에 둘 경우 제품당 방출량은 다소 적더라도 제품수가 증가하고 환기가 자주 이뤄지지 못하면 실내공기 중 TVOC 오염도가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오염물질이 적은 원자재를 사용하고, 전자제품 사용시 열이 적게 발생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게 필요하다”고 전제한 뒤“관련 업계와 협의에 들어갔으며 소비자들에게는 가구나 전자제품을 새로 구입한 경우 오염물질이 실내에 축적되지 않도록 수시로 환기해 줄 것”을 주문했다.
* 출처 : 환경시사일보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밤하늘 계속관찰 실시 (0) | 2006.10.16 |
---|---|
친환경 아이를 아시나요 (0) | 2006.10.15 |
지하 시멘트 매설로 생태계 파괴? (0) | 2006.10.13 |
비상급수시설 14% 음용불가 (0) | 2006.10.12 |
북한 핵실험 관련 방사능 감시강화 (0) | 2006.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