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시에 대비한 용도지만 국민들이 보통 때도 이용하고 있는 비상급수시설의 14%인 382개가 음용수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3년 연속 기준을 초과하는 시설에 대해서도 '지속 이용'이라는 조치를 취하는 등 비상급수시설의 관리가 허술한 실정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제종길 의원(열린우리당·안산단원을)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비상급수시설 운영실태' 자료를 분석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최근 3년(2004∼2006)동안 전국의 비상급수시설 약4천개를 대상으로 매년 수질을 검사한 결과, 검사대상 3922개 중 11.4%인 448개가 기준을 초과했는데 음용수로는 2716개중 14.1%인 382개, 생활용수로는 1207개중 5.5%인 66개가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인천이 30.6%(22/72)으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이 26.7%(172/644), 광주가 24.2%(32/132) 등이었다.
음용수 시설을 보면 전국적으로 2716개중 382개인 14.1%가 부적합으로 판정됐으며 역시 인천시가 32.2%(19/59)로 가장 높았고, 부산이 29.2%(165/565), 광주가 28.5%(29/101)가 뒤를 이었다.
생활용수의 경우 전국 1207개중 5.5%인 66개가 부적합으로 판정됐는데, 경북이 27곳중 31.7%인 9곳으로 가장 높았고 인천이 23.1%(6/26), 충남이 16.9%(4/26)으로 나타났다. 초과항목별로 보면, 총대장균군이 전체의 56%, 일반세균이 23%, 질산성질소가 11% 순이었다.
아파트등 주거지역 223개, 어린이집과 학교 128개, 병원 6개 등의 식수시설에서 기준을 초과했다. 일반 수돗물의 부적합율이 05년에 평균 0.3%이고 전국 지하수 초과율이 7.4%인 것과 비교하면 수돗물의 47배, 일반 지하수의 2배 가량 초과율/부적합율이 높은 수준이다.
3년 연속 부적합시설로 판정된 시설이 모두 71개로 나타났다. 이중 44개가 부산시에 소재했고 경북이 10개였다. 2년 연속으로 보면 전체의 9%인 237개로 파악되었다. 이들 시설들에 대해서 자치단체는 음용중지(6%), 생활용수 전환(?%), 지정해제(6%)보다는 소독 20%, 물탱크청소 13%, 끓여서 음용 9%, 재검사 8%, 펌핑 8% 등 단순조치를 내리고는 '지속이용'하도록 했다.
부산시 영도구의 분원성대장균군이 검출된 태종대중학교 등 4개 학교에 대해서 '끓여서 지속적으로 식수사용'으로 조치했으며, 부산시 북구 만덕중학교는 총대장균군, 철, 탁도 등이 기준을 초과했는데 펌핑해서 지속이용하도록 조치됐다. 또 강원도 동해시의 창호초교 등 3곳은 3년 동안 계속해서 불합격을 받았지만 '재검사-지속사용'을 반복해 왔다. 반면에 대전, 전남, 전북 등은 미개방, 음용중지, 지정해제 등 나름대로 조치를 취했다.
제종길 의원은 "비상급수시설의 수질이 음용수 기준을 3년 연속 초과하고 있는데도, 자치단체가 급수중단이나 원인제거 등 문제해결은 하지 않은 채 끓여서 계속 이용하라고 조치한 것은 국민건간을 도외시한 무책임한 처사"라면서 "부적합 시설에 대해서는 원인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 급수중단 조치를 내려야 하고 소관기관인 소방방재청이 전문성과 문제의식이 없는 만큼 환경부가 주관이 되어 전면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관련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출처 : 에코저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제종길 의원(열린우리당·안산단원을)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비상급수시설 운영실태' 자료를 분석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최근 3년(2004∼2006)동안 전국의 비상급수시설 약4천개를 대상으로 매년 수질을 검사한 결과, 검사대상 3922개 중 11.4%인 448개가 기준을 초과했는데 음용수로는 2716개중 14.1%인 382개, 생활용수로는 1207개중 5.5%인 66개가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인천이 30.6%(22/72)으로 가장 높았으며 부산이 26.7%(172/644), 광주가 24.2%(32/132) 등이었다.
음용수 시설을 보면 전국적으로 2716개중 382개인 14.1%가 부적합으로 판정됐으며 역시 인천시가 32.2%(19/59)로 가장 높았고, 부산이 29.2%(165/565), 광주가 28.5%(29/101)가 뒤를 이었다.
생활용수의 경우 전국 1207개중 5.5%인 66개가 부적합으로 판정됐는데, 경북이 27곳중 31.7%인 9곳으로 가장 높았고 인천이 23.1%(6/26), 충남이 16.9%(4/26)으로 나타났다. 초과항목별로 보면, 총대장균군이 전체의 56%, 일반세균이 23%, 질산성질소가 11% 순이었다.
아파트등 주거지역 223개, 어린이집과 학교 128개, 병원 6개 등의 식수시설에서 기준을 초과했다. 일반 수돗물의 부적합율이 05년에 평균 0.3%이고 전국 지하수 초과율이 7.4%인 것과 비교하면 수돗물의 47배, 일반 지하수의 2배 가량 초과율/부적합율이 높은 수준이다.
3년 연속 부적합시설로 판정된 시설이 모두 71개로 나타났다. 이중 44개가 부산시에 소재했고 경북이 10개였다. 2년 연속으로 보면 전체의 9%인 237개로 파악되었다. 이들 시설들에 대해서 자치단체는 음용중지(6%), 생활용수 전환(?%), 지정해제(6%)보다는 소독 20%, 물탱크청소 13%, 끓여서 음용 9%, 재검사 8%, 펌핑 8% 등 단순조치를 내리고는 '지속이용'하도록 했다.
부산시 영도구의 분원성대장균군이 검출된 태종대중학교 등 4개 학교에 대해서 '끓여서 지속적으로 식수사용'으로 조치했으며, 부산시 북구 만덕중학교는 총대장균군, 철, 탁도 등이 기준을 초과했는데 펌핑해서 지속이용하도록 조치됐다. 또 강원도 동해시의 창호초교 등 3곳은 3년 동안 계속해서 불합격을 받았지만 '재검사-지속사용'을 반복해 왔다. 반면에 대전, 전남, 전북 등은 미개방, 음용중지, 지정해제 등 나름대로 조치를 취했다.
제종길 의원은 "비상급수시설의 수질이 음용수 기준을 3년 연속 초과하고 있는데도, 자치단체가 급수중단이나 원인제거 등 문제해결은 하지 않은 채 끓여서 계속 이용하라고 조치한 것은 국민건간을 도외시한 무책임한 처사"라면서 "부적합 시설에 대해서는 원인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 급수중단 조치를 내려야 하고 소관기관인 소방방재청이 전문성과 문제의식이 없는 만큼 환경부가 주관이 되어 전면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관련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출처 : 에코저널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내환경 오염원은 생활용품 (0) | 2006.10.14 |
---|---|
지하 시멘트 매설로 생태계 파괴? (0) | 2006.10.13 |
북한 핵실험 관련 방사능 감시강화 (0) | 2006.10.11 |
환경단체 설립, 축산농가 협박 갈취 (0) | 2006.10.10 |
세계호랑이 서식지 40%감소 (0) | 2006.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