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앞바다에 대한 고래탐사 작업이 실시된다.
울산시는 이달부터 오는 12월까지 고래연구소(소장 김장근)와 공동으로 연간 40일(주 1회)정도 어업지도선(울산201호)을 이용, 울산 앞바다를 회유하는 고래에 대해 직접 눈으로 관찰하는 목시조사를 실시한다.
첫 탐사는 오는 8일 오전 9시 30분 남구 장생포항 울산시 어업지도선 관리사무소(해창냉동 뒤)에서 출발할 예정이다. 탐사 지점은 울산 연안 10마일(약 19㎞) 해상으로 고래 발견 위치, 종류, 회유경로, 특이사항 등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탐사 결과는 현재 해양수산부가 추진하고 있는 ‘고래관광의 타당성 검토 용역’ 자료로 제출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 고래마니아 등의 모집을 통해 시범적으로 낚시어선을 이용 고래관광 시험 운항도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 1986년 이후 상업포경이 금지되면서 우리시 연안 고래 개체수가 늘어나고 고래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민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면서 “울산 앞바다 고래 회유경로를 파악해 고래관광 타당성 검토 자료로 활용코자 고래탐사를 추진케 됐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05년 5~6월 어업지도선을 이용해 울산 앞바다(10회) 고래탐사 목시조사한 결과 14개 지역에서 최소 밍크고래 1마리에서 최대 참돌고래 2천마리 무리가 회유하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 출처 : 에코저널
울산시는 이달부터 오는 12월까지 고래연구소(소장 김장근)와 공동으로 연간 40일(주 1회)정도 어업지도선(울산201호)을 이용, 울산 앞바다를 회유하는 고래에 대해 직접 눈으로 관찰하는 목시조사를 실시한다.
첫 탐사는 오는 8일 오전 9시 30분 남구 장생포항 울산시 어업지도선 관리사무소(해창냉동 뒤)에서 출발할 예정이다. 탐사 지점은 울산 연안 10마일(약 19㎞) 해상으로 고래 발견 위치, 종류, 회유경로, 특이사항 등을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탐사 결과는 현재 해양수산부가 추진하고 있는 ‘고래관광의 타당성 검토 용역’ 자료로 제출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 고래마니아 등의 모집을 통해 시범적으로 낚시어선을 이용 고래관광 시험 운항도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 1986년 이후 상업포경이 금지되면서 우리시 연안 고래 개체수가 늘어나고 고래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민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면서 “울산 앞바다 고래 회유경로를 파악해 고래관광 타당성 검토 자료로 활용코자 고래탐사를 추진케 됐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 2005년 5~6월 어업지도선을 이용해 울산 앞바다(10회) 고래탐사 목시조사한 결과 14개 지역에서 최소 밍크고래 1마리에서 최대 참돌고래 2천마리 무리가 회유하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 출처 : 에코저널
출처 : Attaboy
글쓴이 : Attaboy 원글보기
메모 :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수도권 PM2.5 관리 필요 (0) | 2007.03.11 |
---|---|
[스크랩] 식품공장 악취로 주민 몸살 (0) | 2007.03.10 |
[스크랩] (0) | 2007.03.08 |
[스크랩] 산림청, 바이오매스 수집단 운영 (0) | 2007.03.07 |
[스크랩] 정부종합청사서 담배연기여 `안녕` (0) | 2007.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