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중 미세먼지로 인해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에서만 연간 1만1천여명이 조기사망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은 최근 서울대 농업생명과학연구원에 의뢰, 조사한 ‘경기도지역 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 추정 및 적정수준 달성방안’ 연구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의 1990년대 최저 오염도는 아황산가스(SO₂) 0.002ppm, 일산화탄소(CO) 0.259ppm, 미세먼지 18.0μg/㎥이었다. 그러나 2001년 연평균 아황산가스 농도는 경기도 0.007ppm, 서울 0.005ppm, 인천 0.007ppm으로, 미세먼지는 경기도 67.0μg/㎥, 서울 71μg/㎥, 인천 52μg/㎥으로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같은 대기오염 악화로 인해 수도권 지역에서 연간 1만1천1백27명(경기도 4,854명, 서울 5,426명, 인천 847명)이 조기사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미세먼지 농도가 10μg/㎥ 증가할 경우 25~30세 인구의 잔여수명이 51.32년에서 50.21년으로 줄어든다는 네덜란드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조기사망이란 오염도 없이 살 수 있는 수명에서 오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축되는 수명기간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연구팀은 또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액이 수도권 전체적으로 총 2조8천1백24억원에서 최대 10조3천8백65억원으로 추산된다고 주장했다.
연구를 진행한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권오상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실증되지 않은 추정치이지만 갈수록 심각해지는 대기오염이 어느 정도 피해를 주고 있는지 조사한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개발연구원은 최근 서울대 농업생명과학연구원에 의뢰, 조사한 ‘경기도지역 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 추정 및 적정수준 달성방안’ 연구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수도권 지역의 1990년대 최저 오염도는 아황산가스(SO₂) 0.002ppm, 일산화탄소(CO) 0.259ppm, 미세먼지 18.0μg/㎥이었다. 그러나 2001년 연평균 아황산가스 농도는 경기도 0.007ppm, 서울 0.005ppm, 인천 0.007ppm으로, 미세먼지는 경기도 67.0μg/㎥, 서울 71μg/㎥, 인천 52μg/㎥으로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같은 대기오염 악화로 인해 수도권 지역에서 연간 1만1천1백27명(경기도 4,854명, 서울 5,426명, 인천 847명)이 조기사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미세먼지 농도가 10μg/㎥ 증가할 경우 25~30세 인구의 잔여수명이 51.32년에서 50.21년으로 줄어든다는 네덜란드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조기사망이란 오염도 없이 살 수 있는 수명에서 오염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축되는 수명기간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연구팀은 또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액이 수도권 전체적으로 총 2조8천1백24억원에서 최대 10조3천8백65억원으로 추산된다고 주장했다.
연구를 진행한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권오상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실증되지 않은 추정치이지만 갈수록 심각해지는 대기오염이 어느 정도 피해를 주고 있는지 조사한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Attaboy
글쓴이 : Attaboy 원글보기
메모 :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환경, 이제는 생활이다 (0) | 2007.01.18 |
---|---|
[스크랩] 수입수산물 부적절 책자 발간 (0) | 2007.01.17 |
[스크랩] 횡성군 청일면 봉명리, 생태우수 마을 지정 (0) | 2007.01.15 |
[스크랩] 유통 농산물 안전성 검사 강화 (0) | 2007.01.13 |
[스크랩] 세계 최초 플라스틱 반도체 등장 (0) | 2007.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