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박지, 봉지 등 농약포장재 대부분이 일반쓰레기와 혼합 배출되거나 소각, 처리되면서 환경오염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강래 의원(열린우리당, 전북 남원·순창)에 따르면 은박지, 봉지(종이봉투) 등 농약포장재는 재활용이 불가능해 고온소각로에 투입해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수거·처리 및 소요비용 분담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회수조차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톤당 약 50만원에 달하는 막대한 소각처리 비용 부담으로 인해 환경부, 자원공사, 한국작물보호협회 모두 이 문제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국환경자원공사는 지난 1986년 이후 폐농약용기 수거·처리에 대한 수탁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올해만 총 20억4,800만원(국고 30%, 지방비 30%, 한국작물보호협회 40%)의 예산을 투입, 약 4,096만개를 수거할 계획이다. 2005년 폐농약용기 수거량을 살펴보면 플라스틱용기 4,013만개(96.9%), 유리용기 130만개(3.1%)로 총 수거량은 4,143만개에 달하고 있다.
플라스틱용기는 유리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소각처리가 용이하며 파손시 사고의 가능성이 낮아 총 발생량 대비 플라스틱용기의 비중은 93.4%(`03)→96.3%(`04)→97.2%(`05)로 계속 증가해 왔다. 공사는 금년 현재 9곳의 재생업체와 계약을 맺고 폐농약 플라스틱용기를 재활용하고 있다.
이 의원은 "은박지, 봉지(종이봉투) 등 농약포장재(재활용 불가)는 소각 등의 적정처리 방안이 마련됐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어떠한 대책도 마련하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다"면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출처 : 에코저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강래 의원(열린우리당, 전북 남원·순창)에 따르면 은박지, 봉지(종이봉투) 등 농약포장재는 재활용이 불가능해 고온소각로에 투입해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수거·처리 및 소요비용 분담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회수조차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톤당 약 50만원에 달하는 막대한 소각처리 비용 부담으로 인해 환경부, 자원공사, 한국작물보호협회 모두 이 문제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국환경자원공사는 지난 1986년 이후 폐농약용기 수거·처리에 대한 수탁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올해만 총 20억4,800만원(국고 30%, 지방비 30%, 한국작물보호협회 40%)의 예산을 투입, 약 4,096만개를 수거할 계획이다. 2005년 폐농약용기 수거량을 살펴보면 플라스틱용기 4,013만개(96.9%), 유리용기 130만개(3.1%)로 총 수거량은 4,143만개에 달하고 있다.
플라스틱용기는 유리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소각처리가 용이하며 파손시 사고의 가능성이 낮아 총 발생량 대비 플라스틱용기의 비중은 93.4%(`03)→96.3%(`04)→97.2%(`05)로 계속 증가해 왔다. 공사는 금년 현재 9곳의 재생업체와 계약을 맺고 폐농약 플라스틱용기를 재활용하고 있다.
이 의원은 "은박지, 봉지(종이봉투) 등 농약포장재(재활용 불가)는 소각 등의 적정처리 방안이 마련됐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어떠한 대책도 마련하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다"면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출처 : 에코저널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젤차의 오해와 진실 (0) | 2006.11.02 |
---|---|
전국 환경방사능 '안전' (0) | 2006.11.01 |
EU 신규차량, 이산화탄소 12% 감소 (0) | 2006.10.30 |
수해지구 복구, 환경의식 부재 우려 (0) | 2006.10.29 |
한반도 상공 오존층 회복세 (0) | 2006.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