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에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는 작년 4월부터 지난 2월까지 4계절에 걸친 독도 자연생태계 정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독도 자연생태계 정밀조사는 작년 3월 독도입도 규제완화 조치와 더불어 생태계 보전 차원에서 시작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생태조사단과 외부전문가 등 21명이 참여해 조류, 곤충, 포유류, 식물상 등 9개 분야에 걸쳐 진행됐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독도에는 107종의 조류와 49종의 식물, 93종의 곤충 등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한다. 조류의 경우 이번 조사에서 검은댕기해오라기, 중대백로 등 26종이 추가로 관찰돼 독도내 서식하는 조류는 전체 107종이다. 이중 멸종위기종은 매(I급), 벌매, 솔개, 뿔쇠오리, 올빼미, 물수리, 고니, 흑두루미(이상 II급) 등 8종이며 개체수가 가장 많은 조류는 괭이갈매기(약 1만여 개체)와 바다제비(600개체), 슴새(50개체) 순이다. 식물은 울릉도 특산식물인 섬장대를 포함해 도깨비쇠고비 등 49종이 관찰됐다. 독도의 지형 및 기상조건이 식물생육에 적합하지 않아 육상에 비해 다양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번행초'는 울릉도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독도에서만 발견돼 독도의 식물정착이 울릉도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 졌음을 알수있다. 반면 식물종 49종중 19종이 독도 자생종이 아닌 외부유입종 또는 식재종으로 밝혀짐에 따라 외부유입종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가 실시한 '최초의 독도 4계절 자연환경 정밀조사'인 관계로 과거시점과의 비교를 통한 변화추이 분석은 어렵지만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정밀조사를 통해 독도 생태계의 변화추이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적 자료를 확보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향후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을 연1회에서 2회로 늘리고, 매 5년마다 4계절 정밀조사를 실시할 것"이라면서 "생태계 변화추이를 분석, 외부유입종이 독도 고유종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조사·관찰해 문화재청 등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대책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에코저널 |
출처 : Attaboy
글쓴이 : Attaboy 원글보기
메모 :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불광천 (0) | 2006.06.03 |
---|---|
[스크랩] 비산 페인트 피해 (0) | 2006.06.02 |
[스크랩] (0) | 2006.05.31 |
[스크랩] 낡은 공원, 공룡테마 공원으로 (0) | 2006.05.30 |
[스크랩] 생명의 자궁에서 무덤으로 (0) | 2006.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