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강릉 안목어항 해양환경 뒷전 총 648억 정부투입, 다목적 활용 미지수 해양청,“해결방안 선례없어 대책마련”부심 경포대 연안에 축조중인 안목어항이 막바지 공사로 접어든 가운데 부유물과 기름유출, 해저에 이끼가 서리는 등 해양오염이 속출하고 있다. 더욱이 영동권의 경포해수욕장을 따라 가장 크고 유일한 1,074m의 안목항 .. 환경소식 2006.01.09
[스크랩] 제주 용수저수지 멸종위기종 서식 2005년 전국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를 통해 5개 습지에서 저어새, 수달, 제주고사리삼 등 총 21종의 멸종위기종 확인 국립환경과학원과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은 2005년 1월부터 9월까지 제주도의 동백동산 습지와 용수저수지, 충북 영동의 심천습지, 충남 보령의 웅천습지, 전북 곡성 일대의 송.. 환경소식 2006.01.08
[스크랩] 강화도 검은머리 물떼새 서식 수도권 우수자연환경지역 생태계 조사보고서 발간 백령도 해안 물범(멸종위기 II급) 집단서식지 DMZ의 위·경도를 아우르는 생태계의 보고로 수도권 일원이 떠오르며 물범과 저어새 등 희귀종이 다량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생태계 변화관찰 지역으로 지정된 백령도 해.. 환경소식 2006.01.07
[스크랩] 청계천 푸른 생명벨트 서울시에서는 최근 두달에 걸쳐 청계천 시점부에서 한강합류부 구간에 서식하고 있는 식생, 어류, 조류, 육상곤충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213종의 다양한 생물들이 이곳에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한 것으로 조사됐다. 어류의 경우 아직 서식환경이 안정되지 않아 출현 어종이 빈약하나 한강.. 환경소식 2006.01.06
[스크랩] 칠보산 동해바닷가에 장엄하게 우뚝 솟은 칠보산(해발 810m, 경북 영덕군 병곡면 영리)은 울진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고려 중기 이곳을 지나던 중국사람이 이 산의 샘물을 마셔보고는 "이 물맛이 보통 샘물과는 다르니 이 산에 일곱 가지 귀한 물건이 있다"하여 주민들이 찾아보니 7가지의 식물 및 지하자원(돌.. 환경소식 2006.01.05
[스크랩] 기러기 보리밭 습격 <기러기 보리밭 습격..농작물 피해 발생> 수확한 벼논에서 먹이를 찾고 있는 기러기 모습(자료) 해남군, ㏊당 65만원 피해보상 계획 수립 (해남=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기러기떼들이 한창 자라고 있는 보리밭을 습격, 피해가 발생하면서 농민들과 자치단체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3일 전남 해남군과.. 환경소식 2006.01.04
[스크랩] 청계천과 서울숲서 철새 탐조 한겨울에 더 많이 날아드는 청계천 겨울철새들을 관찰하고 전문강사로부터 새와 청계천과 환경에 대해 재미있는 강연도 듣는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서울시 푸른도시국에서는 '철새를 찾아가는 청계천과 서울숲' 프로그램을 1월 10일부터 3월말까지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매주 화·목요일 오후 2시부.. 환경소식 2006.01.03
[스크랩] 납골 매장법도 친환경기술 적용 장묘문화 가운데 하나인 분골이 30년에서 반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결국 비효율적인 국토이용문제나 환경문제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근래에는 이러한 납골당의 건립 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납골의 매장방법과 관련된 친환경기술이 출원되고 있다. 예를 .. 환경소식 2006.01.02
[스크랩] 2005년 산림청 10 대뉴스 1. 소나무재선충병 강원북상, 백두대간을 사수하라! 현재 치료약제가 없어 소나무에 감염되면 100% 말라죽는 소나무재선충병! 소나무를 살리기 위해 특별법을 제정하여 대처할 만큼 피해가 확산되고 있음, 금년들어 14개 시군구에 추가 확산 되어 전국 52개 시군구에서 5,111ha의 피해가 발생하였고 백두.. 환경소식 2005.12.31
[스크랩] 대형폐기물 인터넷에서 버린다 서울 강서구(구청장 유 영)는 주민편의 제공을 위해 그동안 동사무소를 방문 신고하게 되어있던 대형폐기물 신고를 내년부터 구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받을 예정이라고 최근 밝혔다. 이에 따라 이사로 인해 주말이나 휴일에 대형폐기물을 배출하는 가정이나 하루 종일 집을 비워야하는 맞벌이부부 등.. 환경소식 2005.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