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살리기? 섬 죽이기? <연륙교·연도교> 섬 살리기? 섬 죽이기? 내년 완도군 '노화읍-보길면' 하나 돼 서남해, 섬∼육지·섬∼섬 잇기 한창 ▲내년이면 완도군 노화읍과 보길면이 연결되는 연 도교 착공이 완료되는 가운데 기대반 우려반의 목 소리가 나오고 있다. ▲섬과 섬을 잇는 연도교 사업이 한창인 가운데 보 길면.. 환경소식 2006.08.05
새만금 방조제 완공후 폐조개류 43t 33㎞의 새만금 방조제가 완공된 뒤 해수유통이 제한되면서 조개류 폐사가 40t을 넘어섰다. 2일 한국농촌공사 새만금사업단에 따르면 지난 4월 하순 방조제 공사가 마무리된 뒤 해수유통이 2개의 배수갑문으로 제한되면서 김제시 진봉면 거전항 갯벌을 중심으로 조개류 폐사가 급격히 진행돼 43t을 수거.. 환경소식 2006.08.04
수돗물 사용량 10%줄이기 운동 '수돗물 사용량 10% 줄이기' 운동 창원시는 여름철을 맞아 수돗물 사용량이 크게 늘어나 고지대 주민들이 물 부족으로 인해 생활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고 8월 한 달간 '수돗물 사용량 10% 줄이기' 운동을 적극 전개키로 했다. 시민들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물소비량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지만 물자원은 나.. 환경소식 2006.08.03
동해안 하천 계곡이 죽어간다 동해안 하천 계곡이 죽어간다 【속초=뉴시스】 본격적인 피서 철을 맞은 강원도내 국. 도립공원과 유명관광지 내에서의 취사 행위가 일절 금지 되면서 부 터 오히려 공원주변의 계곡과 하천들이 행락객들의 무분별한 취사 장소로 제공되고 있어 쓰레기 및 환경오염으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들 .. 환경소식 2006.08.02
환경은 국가차원의 문제 환경은 기업 아닌 국가 차원의 문제 이윤성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위원장 우리 산업은 새로운 패러다임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가격도 품질도 아닌 친환경이 경쟁력의 핵심으로 자리 잡아 나가는 과도기적 시점인 것이다. 이 중요한 시점에 든든한 허리 역할을 하고 있는 이가 있으니, 바로 이윤성 위원.. 환경소식 2006.08.01
야생동물 생태통로 '주먹구구식' 토지공사 국토도시연구원 실태조사 야생동물의 이동과 확산을 위해 도로에 설치된 에코브릿지(Eco Bridge 생태통로) 상당수가 잘못 설치돼 야생동물이 거의 이용하지 않거나 잘못된 노선 선정으로 로드킬(Road Kill)을 조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토지공사 국토도시연구원이 내놓은 '야생동.. 환경소식 2006.07.31
방사선과 방사능-'천지차이' 위해성 없어… 52개국서 조사 허가해 10kGy로 조사된 식품, 전혀 하자 없어 전문지식 부족한 국민이 오해하는 것 식품·의료·제약·화장품 등 공중보건 관련 제품에 위해요소를 사전 차단할 수 있다고 알려진 ‘방사선 기술(RT)’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날로 악화되는 가운데 각계 전문가들이 안정성.. 환경소식 2006.07.29
[스크랩] 10년만의 서해적조, 심상찮다 '10년만의 서해 적조' 심상찮다 中양쯔강 희석수 유입·집중호우 영향…"어패류 집단폐사 일어나나" 어민 초긴장 서해 바다가 ‘묽어’지고 있다. 한편에선 7월 내내 지속된 장마와 집중호우가, 다른 한편에선 중국 양쯔(揚子)강으로부터 유입된 희석수가 계속 바다로 흘러 들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환경소식 2006.07.28
공동체 소중함 느끼는 환경 체험 공동체 소중함 느끼는 환경 체험 경기도, 청소년 환경대탐사 개최 경기도는 25일 도청운동장에서 김문수 도지사, 이금자 공동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청소년환경대탐사 발대식을 개최했다. 푸른경기21실천협의회의 주최로 실시되는 청소년 환경대탐사는 25~28일 3일간 안성시 미양면 소재 안성두원공.. 환경소식 2006.07.27
소각시설이 돈을 번다 소각시설이 돈을 번다 폐열 이용해 중유 수입 1500억 절감 효과 화석에너지 사용감소… 탄소배출권 240억 수익 쓰레기에서 얻는 에너지가 연간 15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전국 지자체에서 운영 중인 38개 대형 생활 폐기물 소각시설의 폐열 자원화 실태를 조사한 결과 폐열 총 4.. 환경소식 200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