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내 일부 마을상수도 수질이 먹는물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9·10월 두달간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연맹)와 합동으로 시내 수돗물과 상수도 수질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계곡수와 지하수 등을 수원으로 하는 상수도 비급수지역의 마을상수도 일부 지점에서 질산성질소가 17.3mg/L(수질기준 10mg/L이하)로 나타나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실시한 수질검사는 수도사업자가 실시하는 법정검사와는 별도로 대구지역의 정수장 5개소와 수도꼭지 100곳, 저수조 12곳 및 상수도 미보급 지역의 마을상수도 7곳 등 124곳을 표본 추출해 먹는물 수질기준 전항목(54항목)에 대해 검사를 실시했다.
총대장균군 등 세균류는 정수장 및 수도꼭지 저수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마을상수도 일부시설에서는 소독의 불충분으로 인해 일부 검출됐다. 농약류, 중금속류, 휘발성유기화합물질과 냄새, 맛, 색도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미네랄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인 경도와 증발잔류물은 너무 많으면 쓴맛 또는 떫은맛을 나타내나 70mg/L(수질기준 300mg/L)과 135mg/L(수질기준 500mg/L)로 적당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었다.
유기물 함량을 나타내는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은 1.6mg/L(수질기준 10mg/L)로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또 산성·알칼리성의 측정 지표인 수소이온농도는 7.0(수질기준 5.8~8.5)로 중성을 조사됐다.
이와 함께 소독 후 부산물로 발생하는 ‘총트리할로메탄’, ‘클로로포름’ 역시 0.050mg/L(수질기준 0.1mg/L)과 0.0285mg/L(수질기준 0.08mg/L)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수질기준 초과시설에 대해 소독실시 및 외부오염물질 차단 등으로 현장조치를 실시해 재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모두 수질기준에 적합했으며 지방상수도가 보급 완료된 시설은 수질이용을 중지 시켰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소비자단체와 합동으로 수돗물과 마을상수도 등 시민들의 먹는물 감시활동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출처 : 에코저널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9·10월 두달간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연맹)와 합동으로 시내 수돗물과 상수도 수질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계곡수와 지하수 등을 수원으로 하는 상수도 비급수지역의 마을상수도 일부 지점에서 질산성질소가 17.3mg/L(수질기준 10mg/L이하)로 나타나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실시한 수질검사는 수도사업자가 실시하는 법정검사와는 별도로 대구지역의 정수장 5개소와 수도꼭지 100곳, 저수조 12곳 및 상수도 미보급 지역의 마을상수도 7곳 등 124곳을 표본 추출해 먹는물 수질기준 전항목(54항목)에 대해 검사를 실시했다.
총대장균군 등 세균류는 정수장 및 수도꼭지 저수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마을상수도 일부시설에서는 소독의 불충분으로 인해 일부 검출됐다. 농약류, 중금속류, 휘발성유기화합물질과 냄새, 맛, 색도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미네랄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인 경도와 증발잔류물은 너무 많으면 쓴맛 또는 떫은맛을 나타내나 70mg/L(수질기준 300mg/L)과 135mg/L(수질기준 500mg/L)로 적당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었다.
유기물 함량을 나타내는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은 1.6mg/L(수질기준 10mg/L)로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또 산성·알칼리성의 측정 지표인 수소이온농도는 7.0(수질기준 5.8~8.5)로 중성을 조사됐다.
이와 함께 소독 후 부산물로 발생하는 ‘총트리할로메탄’, ‘클로로포름’ 역시 0.050mg/L(수질기준 0.1mg/L)과 0.0285mg/L(수질기준 0.08mg/L)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수질기준 초과시설에 대해 소독실시 및 외부오염물질 차단 등으로 현장조치를 실시해 재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모두 수질기준에 적합했으며 지방상수도가 보급 완료된 시설은 수질이용을 중지 시켰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소비자단체와 합동으로 수돗물과 마을상수도 등 시민들의 먹는물 감시활동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출처 : 에코저널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주요습지 보호 강화 (0) | 2006.11.25 |
---|---|
불법 수목장 관리, 감독 강화 (0) | 2006.11.24 |
새만금 토지이용 '개발-환경' 논란 (0) | 2006.11.22 |
유치원생들의 환경보호 다짐 (0) | 2006.11.21 |
CITES, 상아매매 규제 (0) | 2006.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