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국제·선진화 계기가 마련됐다. 우리나라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의 82번째 국가회원으로 가입한 것이다.
환경부와 외교통상부는 우리나라가 IUCN 국가회원으로 가입함으로써 자연환경보전 분야 국제교류 및 협력의 기반이 마련됐다고 1일 밝혔다.
IUCN은 생태계가 우리 인간에게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국제기구로 멸종위기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73)과 생물다양성협약('82)을 기초한다. 최근에는 각 국가의 국립공원, 습지보호지역 등 자연환경 보호지역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와 생물다양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 등을 중점 수행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는 환경부만이 IUCN의 정부기관회원으로 가입('85년 최초 가입)해 활동했으며 비정부기관회원으로 자연보전협회, 야생동물보호협회 등 4개 민간단체가 가입돼 있다.
기존 정부기관회원에서 IUCN 국가회원으로 격상됨으로써 자연환경보전 분야의 국제적 외교역량이 더 한층 강화되고 세계경제포럼이 주관하는 환경지속성지수(ESI)의 순위 제고 등이 기대된다.
먼저, 기존 정부기관회원으로 보유했던 1장의 투표권이 3장의 투표권으로 증가해 매 4년마다 개최되는 총회에서 회원국에 대한 권고사항 제시, 임원선출 등에 우리나라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 기존에는 환경부 차원에서 제한적으로 자연환경보전 분야의 국제협력을 해왔으나, 이번 IUCN 국가회원 격상을 계기로 환경부 이외의 다른 중앙행정기관도 직접 국가대표로 관련 총회에 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008년 중국에서 개최될 제4차 IUCN 총회에는 정부 및 민간의 대표들이 적극 참여할 것이 예상된다.
또한 IUCN과 자연환경 업무 협력이 긴밀해짐으로써 우리나라 자연환경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도 선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국제적 흐름이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지정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주민들과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및 효율적 관리를 중요시하고 있어 이 부문에 대한 IUCN과의 협력강화가 추진될 전망이다.
정부는 국내 자연환경 보호지역 중 IUCN 카테고리로 등재되지 않은 곳을 IUCN 카테고리의 성격에 부합하게 등재하고 이미 등재된 38개의 보호지역도 재평가해 적절한 카테고리로 재분류함으로써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보호지역의 분류체계를 확립할 예정이다.
이번 국가회원 격상과 해양수산부 등 타 부처의 정부기관회원 가입 추진 등으로 환경지속성지수(총 76개 변수)를 구성하는 변수인 'IUCN 회원수'에 대한 점수가 상승하여 환경지속성지수 전체 순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146개국 중 122위에 머물러 있는 2006년도 우리나라 환경지속성지수의 순위를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전망이다.
IUCN 국가회원 격상을 계기로 오는 10월 환경부, 해양수산부, IUCN이 공동으로 제주도에서 개최예정인 '보호지역 국제워크'를 통해우리나라 자연환경 보호지역 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등 IUCN과의 협력을 한층 제고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OECD 국가 가운데 대부분인 30개국 중 24개국이 IUCN 국가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현재 국가회원 자격이 아닌 정부기관회원 109개국은 쿠바, 필리핀, 세르비아 등 대부분 개발도상국이거나 저개발국들이다.
* 출처 : 에코저널
환경부와 외교통상부는 우리나라가 IUCN 국가회원으로 가입함으로써 자연환경보전 분야 국제교류 및 협력의 기반이 마련됐다고 1일 밝혔다.
IUCN은 생태계가 우리 인간에게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국제기구로 멸종위기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73)과 생물다양성협약('82)을 기초한다. 최근에는 각 국가의 국립공원, 습지보호지역 등 자연환경 보호지역 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와 생물다양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 등을 중점 수행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는 환경부만이 IUCN의 정부기관회원으로 가입('85년 최초 가입)해 활동했으며 비정부기관회원으로 자연보전협회, 야생동물보호협회 등 4개 민간단체가 가입돼 있다.
기존 정부기관회원에서 IUCN 국가회원으로 격상됨으로써 자연환경보전 분야의 국제적 외교역량이 더 한층 강화되고 세계경제포럼이 주관하는 환경지속성지수(ESI)의 순위 제고 등이 기대된다.
먼저, 기존 정부기관회원으로 보유했던 1장의 투표권이 3장의 투표권으로 증가해 매 4년마다 개최되는 총회에서 회원국에 대한 권고사항 제시, 임원선출 등에 우리나라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 기존에는 환경부 차원에서 제한적으로 자연환경보전 분야의 국제협력을 해왔으나, 이번 IUCN 국가회원 격상을 계기로 환경부 이외의 다른 중앙행정기관도 직접 국가대표로 관련 총회에 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008년 중국에서 개최될 제4차 IUCN 총회에는 정부 및 민간의 대표들이 적극 참여할 것이 예상된다.
또한 IUCN과 자연환경 업무 협력이 긴밀해짐으로써 우리나라 자연환경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도 선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국제적 흐름이 자연환경 보호지역의 지정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주민들과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및 효율적 관리를 중요시하고 있어 이 부문에 대한 IUCN과의 협력강화가 추진될 전망이다.
정부는 국내 자연환경 보호지역 중 IUCN 카테고리로 등재되지 않은 곳을 IUCN 카테고리의 성격에 부합하게 등재하고 이미 등재된 38개의 보호지역도 재평가해 적절한 카테고리로 재분류함으로써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보호지역의 분류체계를 확립할 예정이다.
이번 국가회원 격상과 해양수산부 등 타 부처의 정부기관회원 가입 추진 등으로 환경지속성지수(총 76개 변수)를 구성하는 변수인 'IUCN 회원수'에 대한 점수가 상승하여 환경지속성지수 전체 순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146개국 중 122위에 머물러 있는 2006년도 우리나라 환경지속성지수의 순위를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전망이다.
IUCN 국가회원 격상을 계기로 오는 10월 환경부, 해양수산부, IUCN이 공동으로 제주도에서 개최예정인 '보호지역 국제워크'를 통해우리나라 자연환경 보호지역 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등 IUCN과의 협력을 한층 제고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OECD 국가 가운데 대부분인 30개국 중 24개국이 IUCN 국가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현재 국가회원 자격이 아닌 정부기관회원 109개국은 쿠바, 필리핀, 세르비아 등 대부분 개발도상국이거나 저개발국들이다.
* 출처 : 에코저널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남저수지, 국제철새네트워크 가입 추진 (0) | 2006.09.04 |
---|---|
주남저수지, 국제철새네트워크 가입 추진 (0) | 2006.09.04 |
도로변 아파트 소음, 업체책임 (0) | 2006.09.01 |
가로등 밝혀 (0) | 2006.08.31 |
물 안쓰는 변기로 에너지 절약추진 (0) | 2006.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