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에서 천연기념물인 미호종개와 어름치를 비롯해 우리나라 고유어종인 각시붕어, 칼납자루, 참갈겨니 등 총 28종이 출현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생태연구소가 우리나라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서해로 흐르는 금강의 어류 서식상 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금강에는 총 64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지역별 우점종으로는 용담댐 상류에 참갈겨니, 대청댐 상류에는 피라미, 대청댐 하류에는 누치가 우점하고 있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으로는 감돌고기 등 5종이 조사됐고 기타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뱀장어, 잉어, 붕어, 쏘가리, 모래무지와 눈동자개 등이 서식했다.
금강은 한강, 낙동강에 이어 세번째 큰 강으로 우리나라의 중앙부 서쪽에 위치해 동으로는 낙동강유역, 북으로는 한강유역, 북서로는 안성천유역과 삽교천유역, 남으로는 만경강유역과 섬진강유역에 접해 있는 총면적 394.8㎢, 길이 1천리에 이르는 강이다. 수많은 지천과 소하천이 합쳐 총 유역면적이 남한의 약 1/10 에 해당하는 강이다.
금강의 어류 서식상 조사는 용담댐과 대청댐을 기준으로 용담댐 상류, 대청댐 상류, 대청댐 하류 지역으로 구분, 2작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0개 지점에서 총 5회 실시됐다.
한편, 내수면생태연구소에서는 금강의 어류 서식상 조사 결과를 포스터로 제작, 배부할 계획이다.
*출처: 에코저널
국립수산과학원 내수면생태연구소가 우리나라 중부지방을 가로질러 서해로 흐르는 금강의 어류 서식상 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금강에는 총 64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지역별 우점종으로는 용담댐 상류에 참갈겨니, 대청댐 상류에는 피라미, 대청댐 하류에는 누치가 우점하고 있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으로는 감돌고기 등 5종이 조사됐고 기타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뱀장어, 잉어, 붕어, 쏘가리, 모래무지와 눈동자개 등이 서식했다.
금강은 한강, 낙동강에 이어 세번째 큰 강으로 우리나라의 중앙부 서쪽에 위치해 동으로는 낙동강유역, 북으로는 한강유역, 북서로는 안성천유역과 삽교천유역, 남으로는 만경강유역과 섬진강유역에 접해 있는 총면적 394.8㎢, 길이 1천리에 이르는 강이다. 수많은 지천과 소하천이 합쳐 총 유역면적이 남한의 약 1/10 에 해당하는 강이다.
금강의 어류 서식상 조사는 용담댐과 대청댐을 기준으로 용담댐 상류, 대청댐 상류, 대청댐 하류 지역으로 구분, 2작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0개 지점에서 총 5회 실시됐다.
한편, 내수면생태연구소에서는 금강의 어류 서식상 조사 결과를 포스터로 제작, 배부할 계획이다.
*출처: 에코저널
출처 : Attaboy
글쓴이 : Attaboy 원글보기
메모 :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딸기, 무농약 재배기술 현장평가 (0) | 2006.05.14 |
---|---|
[스크랩] 산청, 지리산 약초축제 (0) | 2006.05.13 |
[스크랩] 철쭉이 달아오른다 (0) | 2006.05.11 |
[스크랩] 해파리 (0) | 2006.05.10 |
[스크랩] 은나노 젖병, 안심하지 마세요 (0) | 200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