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가지 상태를 게을리하면 이러한 병에 걸린다
<본 문>
황제가 소녀에게 물었다.
남자가 기(氣)를 받는 것은 음양이 모두 같지만 때로는 음(陰)에 위축되어 일어나지 않거나, 정력이 쇠퇴하여 강건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것에 대하여 무슨 좋은 치료법이 없겠는가? 소녀가 대답한다.
그것은 흔히 있는 일입니다. 남자는 부인 때문에 요절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색을 삼가하고 욕심을 내지 않도록 하고 장수의 길을 생각하는 일이 긴요합니다. 만약에 병에 걸렸을 경우에는 악물로 치료하는 것이 첩경이지만 그에 앞서 먼저 그 원인이 되고 있는 금기사항을 범하는 것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의 금기사항은 그믐과 초하루, 상현(上玄)과 하현(下玄)의 달과 보름달 밤에 영위하는 교접으로서 이것을 범하면 태어난 아이의 정기를 손상케 되며, 방사에 임해서도 발기하지 않거나, 때로는 저절로 발기하는 수도 있으나, 소변이 적황색으로 나오거나 유정이 되어 수명을 단축시키게 됩니나.
둘째 금기사항은 뇌선, 풍우, 천지가 어두워졌을 때, 지진이 일어났을 때의 교접으로서 이 때 태어난 아이는 미치광이가 되는가, 벙어리, 귀머거리, 장님 등이 되며, 혹은 정신 박약아가 되거나 사물에 대한 감수성이 지나치게 예민하여 우울증에 걸리게 됩니다.
세째 금기사항은 음식을 배불리 먹었을 때나 술에 만취했을 때의 교접으로서, 내장 등 여러 기관을 손상시켜 소변이 붉거나 희며, 허리와 등이 아프고 몸이 부이 오르거나 배가 팽팽이 불러와서 생명을 단축시킵니다.
네째 금기사항은 소변 직후나, 몸의 상태가 본래대로 회복되기 전에 교접으로서 식욕이 떨어지고 헛배가 부르고 우울증이 되어 매사에 격해지기 쉽고 때로는 미친 사람처럼 날뛰는 경우도 있읍니다.
다섯째 금기사항은 먼 길을 걸은 후나 심한 노동으로 피로가 회복되기도 전에 교접하는 일로서 건식이 되거나 입이 마르고 소화 불량증이 생기거나 몸의 마디마다가 아픈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섯째는 탈락되어 생략)
일곱째 금기사항은 여성과 음탕한 이야기를 해서 옥경이 몹시 발기되어 있을 때 교접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일이며, 옥경이 손상되어 통증을 느끼게 되며, 내장이 손상되어 귀가 멀어지며 눈이 아물거리면서 정신이 불안하고 심한 기침을 해서 음위(陰位)가 됩니다. 이와 같은 금기를 범하여 증상이 뚜렸해지며 그것을 고치는 하늘이 내리는 신약이 있습니다. 또 이렇게 적고 있다.
<본 문>
황제가 고양부(高陽負)에게 묻는다.
나는 소녀로부터 남자의 오로칠상(五勞七傷)이라는 것이나 또는 여성의 음양격폐, 적백대혈, 불임증 등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이러한 병이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일이나는가 설명해주기 바란다. 고양부는 이렇게 대답한다. 그것은 참으로 좋은 질문입니다.
남자의 오로 육극 칠상(五力六極七傷)이라고 하는 병은 물론 그것이 뚫고 둘어오는 경로가 있습니다.』
먼저 칠상에 대하여 들어 보겠다.』
첫째 음한, 둘째 음쇠, 세째 정청, 네째 정소, 다섯째 음하습, 여섯째 소변의 횟수가 줄어드는 것. 일곱째 방사불능이라는 일곱 가지입니다.
그 치료법은?
사계절의 신약으로 복령(茯芩)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을 어느 때를 막론하고 병의 증상에 따라서 이것을 안배하여 사용합니다. 봄철 3개월 간은 갱생환(更生丸 : 갱생은 복령을 뜻한다).
역(易)을 가지고 남자의 5로 7상을 고칠수가 있습니다.
음쇠나 음낭 밑에 종기가 생겼을 때, 허리나 동이 아플 때, 두 무릎이 시리든가 열이나든가, 부어서 보행이 곤란해졌을 때, 바람이 불면 눈에서 눈물이 나며 눈이 아물거릴 때, 기침이 날 때, 살갗이 누렇게 변하여 원기가 없을 때, 방광이 아플 때,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때, 옥경이 아프고 상처를 입었을 때, 오줌이 저절로 새어나올 때, 악몽에 시달릴 때, 입이 마르고 혀가 굳어지거나, 식욕이 없을때, 원기가 쇠진 했을때, 혹은 일곱가지 금기사항을 범하여 병에 걸렸을 때 등에는 이 약이 매우 잘 듣습니다.
조제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 령 (茯 芩) 4푼 (소화불량일 때는3분의1을증가)
창 포 (菖 蒲) 4푼 (귀가 들리지 않을때는 3분의 1을 증가)
산수유 (山茱萸) 4푼 (몸이 가려울 때는 3분의 1을 증가)
괄여근 (括呂根) 4푼 (입이 마를 때는 3분의 1을 증가)
토사자 (寃絲子) 4푼 (음위는 2분의 1을증가)
우 슬 (牛 膝) 4푼 (기관이 부조화인 경우 2가 증가)
적석지 (赤石脂) 4푼 (내상인 경우 3분의 1을 증가)
건시황 (乾地黃) 7푼 (열이 있으면 3분의 1증가)
세 신 (細 辛) 4푼 (눈이나 안개가 낄때는 3분의 1증가)
방 풍 (防 風) 4푼 (감기가 들었을 때는 3분의 1증가)
서 예 (薯 苗) 4푼 (음습일 때는 3분의 1증가)
속 단 (續 斷) 4푼 (치질일경우 4분의 1증가)
사상자 (蛇床子) 4푼 (정기부족은 3분의 1증가)
백 실 (柏 美) 4푼 (체력 감퇴는 배를 증가)
파극천 (巴戟天) 4푼 (음위는 3분의 1증가)
천 옹 (天 雄) 4푼 (정신불안일 때는 3분의 1증가)
석 곡 (石 斛) 4푼 (몸이 아플 때는 배를 증가)
두 충 (杜 沖) 4푼 (요통과 신이 허할때를 증가)
종 용 (從 蓉) 4푼 (냉위에는 배를 증가)
이들 20가지 재료를 빻아 가루로 만든 다음 채로 쳐서 꿀에 재어 오동나무 열매 정도의 크기로 한약을 만들어 우선 3개씩 하루에 세번 복용합니다. 효과가 없으면 나타 날때까지 조금씩 양을 늘려 갑니다. 또 이것을 가루약으로 만들어 한치 크기의 숟갈 분량을 죽과 함께 먹어도 됩니다. 7일만에 효과가 나타나고 10일만에 낫게 되며 30일 후에는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이 됩니다.
장기간에 걸쳐서 복용하면 늙어서 점점 왕성해 집니다. 돼지고기, 양고기, 냉수, 날것 등은 금해야 합니다.
<해 설>
이 항목의 윗문이 없었기 때문에 중산소보(中山素補)씨의 번역문을 인용하였음을 사과합니다. 중국의 방중술은 음양교접의 도라 하여 음양설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것에 대해서 옥방비결은 층화자의 말을 빌려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역경]에는 (하늘은 자연 현상을 제시해서 길흉의 조짐을 나타내고, 성에는 이 현상에 의해서 길흉을 예측하는 것이다.)라고 기술되고 있다.
또 예기(禮記)는 천둥이 치려는 순간에 수태하는 것을 경계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 재앙이 닥쳐온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성인은 인간을 훈계하고 있다. 깊이 삼가하지 않으면 안될 일이다.
원래 천변은 위에서 나타나고, 지재는 밑에서 일어난다. 사람은 그 중간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친지를 두려워하고, 공경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특히 음양의 교접은 천지의 현상을 공경하고 크게 조심을 해야 하는 것이다.
첫째의 금기사항은 이와같은 날이 어느 것이나 . 음신의 날에 상당하기 때문이다.
둘째의 금기사항은 이와 같은 때가 (하늘의 금기)에 상당하기 때문이며, 천둥 번개가 칠 때 잉태되는 것은 (예기)에도 경고하는 것처럼 하늘이 미친듯이 거세게 요동하고 있기 때문에 미치광이가 된다고 생각한 것이지만, 현대풍으로 표현하자면, 낙뢰 등을 두려워 해서 침착하게 영위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보다 무우드를 중요시 하라는 것이다.
세째의 금기사항은 술에 너무 취하거나 과식, 희노, 우비, 두려움 등의 상태이며, 이와 같은 것이 (사람의 금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소화 불량이나, 취했을 때의 심장이나 위가 좋지 않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다. 희노애락의 7 정이 내장의 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황제내경)이 지적하는 바로서 근대 의학이 이제 겨우 이것을 알아차리고 심신 의학을 문제삼기 시작했다. 현대의 스트레스 과잉에 해당된다. 여기서는 취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하늘과 사람의 금기 외에 (땅의 금기) 라고 하는 것이 있다.
사찰 등의 거룩한 장소나, 우물이나, 부뚜막이나, 변소 옆, 무덤이나 관 옆에서 교접하는 것은, 땅의 금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삼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금기들은, 그러한 장소외에서는 안심하고 천천히 즐길 수 있으므로 너무 성을 유희화 해서는 안된다는 가르침이다. 현대의 무드 조성에 해당된다.
네째의 금기사항은 소변 직후라고 하는 것은 본래 몸이 쇠약해 있던가, 병자라는 전제하에서 말한 것이다. (옥방비결)의 수태에 대한 (7 상의 금기)에 네째 금기로 소변을 막 하고 나서 정기가 진해 진 채 음양을 화합하면 맥이 결체하므로 그때 수태된 아이는 반드시 요절한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다음에 모두 일곱 가지 금기사항이 열거되어 있는바 수태의 이론으로서도 건강상으로도 현대인이 자칫 잊게 마련인 지식을 설명하고 있다.
소녀는 남성의 성의 질환으로서 五로, 六극, 七상, 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고
대답하고 그 가운데 7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그 외에 五로·六극에 대해서는 분명치 않지만, 여러가지 생리적 증세를 예로 들고 있어 쉽게 추측할 수가 있다.
성기의 병은 같은 요도염이라도 요도에서 들어오는 경우가 있고, 감기나 편도선염의 균이 혈액에 의해서 옮겨져 성과는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고, 자신도 모르게 만성병이 되어 치료를 오래 끌게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러한 점에서 한방약은 한 종류 뿐이 아니고 여러가지 생약을 한데 모아 처방한다. 여기서도 냉수나 날 것등을 금하고 있는데 이것은 약효를 높이기 위한 것과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한 배려인 것이다.
서양 의학은 병에 따라 약을 조제하기 때문에 병이 날때는 잘 낫지만 그대신 다른 곳이 해를 입게 되어 약의 부작용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이나 증상이 많고,피부과 외래 환자의 반수는 약의 부작용이 나타난 환자로서 현대병이 되고만 의원병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한방은 약을 중심으로 하여 병이나 증상에 맞추어 적용되는 조치를 취한다. 서양 의학의 의원병이 문제가 되면서부터 한방의 치료법이 주목되고, 동양 의학의 심신 의학이 주목받게 된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이다. 본문으로 되돌아서서 다시 황제의 물음이 시작된다.
여름철의 3개월과 가을 3개월 겨울철의 3개월간에는 어떤 약이 좋은가 하고 묻자 고양부는 각 계절에 듣는(보신 복렁환)의 2종의 처방 및 (수명 복령환)의 처방을 대답했다.
<본 문>
황제가 소녀에게 물었다.
남자가 기(氣)를 받는 것은 음양이 모두 같지만 때로는 음(陰)에 위축되어 일어나지 않거나, 정력이 쇠퇴하여 강건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것에 대하여 무슨 좋은 치료법이 없겠는가? 소녀가 대답한다.
그것은 흔히 있는 일입니다. 남자는 부인 때문에 요절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색을 삼가하고 욕심을 내지 않도록 하고 장수의 길을 생각하는 일이 긴요합니다. 만약에 병에 걸렸을 경우에는 악물로 치료하는 것이 첩경이지만 그에 앞서 먼저 그 원인이 되고 있는 금기사항을 범하는 것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의 금기사항은 그믐과 초하루, 상현(上玄)과 하현(下玄)의 달과 보름달 밤에 영위하는 교접으로서 이것을 범하면 태어난 아이의 정기를 손상케 되며, 방사에 임해서도 발기하지 않거나, 때로는 저절로 발기하는 수도 있으나, 소변이 적황색으로 나오거나 유정이 되어 수명을 단축시키게 됩니나.
둘째 금기사항은 뇌선, 풍우, 천지가 어두워졌을 때, 지진이 일어났을 때의 교접으로서 이 때 태어난 아이는 미치광이가 되는가, 벙어리, 귀머거리, 장님 등이 되며, 혹은 정신 박약아가 되거나 사물에 대한 감수성이 지나치게 예민하여 우울증에 걸리게 됩니다.
세째 금기사항은 음식을 배불리 먹었을 때나 술에 만취했을 때의 교접으로서, 내장 등 여러 기관을 손상시켜 소변이 붉거나 희며, 허리와 등이 아프고 몸이 부이 오르거나 배가 팽팽이 불러와서 생명을 단축시킵니다.
네째 금기사항은 소변 직후나, 몸의 상태가 본래대로 회복되기 전에 교접으로서 식욕이 떨어지고 헛배가 부르고 우울증이 되어 매사에 격해지기 쉽고 때로는 미친 사람처럼 날뛰는 경우도 있읍니다.
다섯째 금기사항은 먼 길을 걸은 후나 심한 노동으로 피로가 회복되기도 전에 교접하는 일로서 건식이 되거나 입이 마르고 소화 불량증이 생기거나 몸의 마디마다가 아픈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섯째는 탈락되어 생략)
일곱째 금기사항은 여성과 음탕한 이야기를 해서 옥경이 몹시 발기되어 있을 때 교접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일이며, 옥경이 손상되어 통증을 느끼게 되며, 내장이 손상되어 귀가 멀어지며 눈이 아물거리면서 정신이 불안하고 심한 기침을 해서 음위(陰位)가 됩니다. 이와 같은 금기를 범하여 증상이 뚜렸해지며 그것을 고치는 하늘이 내리는 신약이 있습니다. 또 이렇게 적고 있다.
<본 문>
황제가 고양부(高陽負)에게 묻는다.
나는 소녀로부터 남자의 오로칠상(五勞七傷)이라는 것이나 또는 여성의 음양격폐, 적백대혈, 불임증 등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이러한 병이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일이나는가 설명해주기 바란다. 고양부는 이렇게 대답한다. 그것은 참으로 좋은 질문입니다.
남자의 오로 육극 칠상(五力六極七傷)이라고 하는 병은 물론 그것이 뚫고 둘어오는 경로가 있습니다.』
먼저 칠상에 대하여 들어 보겠다.』
첫째 음한, 둘째 음쇠, 세째 정청, 네째 정소, 다섯째 음하습, 여섯째 소변의 횟수가 줄어드는 것. 일곱째 방사불능이라는 일곱 가지입니다.
그 치료법은?
사계절의 신약으로 복령(茯芩)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을 어느 때를 막론하고 병의 증상에 따라서 이것을 안배하여 사용합니다. 봄철 3개월 간은 갱생환(更生丸 : 갱생은 복령을 뜻한다).
역(易)을 가지고 남자의 5로 7상을 고칠수가 있습니다.
음쇠나 음낭 밑에 종기가 생겼을 때, 허리나 동이 아플 때, 두 무릎이 시리든가 열이나든가, 부어서 보행이 곤란해졌을 때, 바람이 불면 눈에서 눈물이 나며 눈이 아물거릴 때, 기침이 날 때, 살갗이 누렇게 변하여 원기가 없을 때, 방광이 아플 때,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올때, 옥경이 아프고 상처를 입었을 때, 오줌이 저절로 새어나올 때, 악몽에 시달릴 때, 입이 마르고 혀가 굳어지거나, 식욕이 없을때, 원기가 쇠진 했을때, 혹은 일곱가지 금기사항을 범하여 병에 걸렸을 때 등에는 이 약이 매우 잘 듣습니다.
조제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 령 (茯 芩) 4푼 (소화불량일 때는3분의1을증가)
창 포 (菖 蒲) 4푼 (귀가 들리지 않을때는 3분의 1을 증가)
산수유 (山茱萸) 4푼 (몸이 가려울 때는 3분의 1을 증가)
괄여근 (括呂根) 4푼 (입이 마를 때는 3분의 1을 증가)
토사자 (寃絲子) 4푼 (음위는 2분의 1을증가)
우 슬 (牛 膝) 4푼 (기관이 부조화인 경우 2가 증가)
적석지 (赤石脂) 4푼 (내상인 경우 3분의 1을 증가)
건시황 (乾地黃) 7푼 (열이 있으면 3분의 1증가)
세 신 (細 辛) 4푼 (눈이나 안개가 낄때는 3분의 1증가)
방 풍 (防 風) 4푼 (감기가 들었을 때는 3분의 1증가)
서 예 (薯 苗) 4푼 (음습일 때는 3분의 1증가)
속 단 (續 斷) 4푼 (치질일경우 4분의 1증가)
사상자 (蛇床子) 4푼 (정기부족은 3분의 1증가)
백 실 (柏 美) 4푼 (체력 감퇴는 배를 증가)
파극천 (巴戟天) 4푼 (음위는 3분의 1증가)
천 옹 (天 雄) 4푼 (정신불안일 때는 3분의 1증가)
석 곡 (石 斛) 4푼 (몸이 아플 때는 배를 증가)
두 충 (杜 沖) 4푼 (요통과 신이 허할때를 증가)
종 용 (從 蓉) 4푼 (냉위에는 배를 증가)
이들 20가지 재료를 빻아 가루로 만든 다음 채로 쳐서 꿀에 재어 오동나무 열매 정도의 크기로 한약을 만들어 우선 3개씩 하루에 세번 복용합니다. 효과가 없으면 나타 날때까지 조금씩 양을 늘려 갑니다. 또 이것을 가루약으로 만들어 한치 크기의 숟갈 분량을 죽과 함께 먹어도 됩니다. 7일만에 효과가 나타나고 10일만에 낫게 되며 30일 후에는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이 됩니다.
장기간에 걸쳐서 복용하면 늙어서 점점 왕성해 집니다. 돼지고기, 양고기, 냉수, 날것 등은 금해야 합니다.
<해 설>
이 항목의 윗문이 없었기 때문에 중산소보(中山素補)씨의 번역문을 인용하였음을 사과합니다. 중국의 방중술은 음양교접의 도라 하여 음양설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것에 대해서 옥방비결은 층화자의 말을 빌려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역경]에는 (하늘은 자연 현상을 제시해서 길흉의 조짐을 나타내고, 성에는 이 현상에 의해서 길흉을 예측하는 것이다.)라고 기술되고 있다.
또 예기(禮記)는 천둥이 치려는 순간에 수태하는 것을 경계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 재앙이 닥쳐온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성인은 인간을 훈계하고 있다. 깊이 삼가하지 않으면 안될 일이다.
원래 천변은 위에서 나타나고, 지재는 밑에서 일어난다. 사람은 그 중간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친지를 두려워하고, 공경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특히 음양의 교접은 천지의 현상을 공경하고 크게 조심을 해야 하는 것이다.
첫째의 금기사항은 이와같은 날이 어느 것이나 . 음신의 날에 상당하기 때문이다.
둘째의 금기사항은 이와 같은 때가 (하늘의 금기)에 상당하기 때문이며, 천둥 번개가 칠 때 잉태되는 것은 (예기)에도 경고하는 것처럼 하늘이 미친듯이 거세게 요동하고 있기 때문에 미치광이가 된다고 생각한 것이지만, 현대풍으로 표현하자면, 낙뢰 등을 두려워 해서 침착하게 영위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보다 무우드를 중요시 하라는 것이다.
세째의 금기사항은 술에 너무 취하거나 과식, 희노, 우비, 두려움 등의 상태이며, 이와 같은 것이 (사람의 금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소화 불량이나, 취했을 때의 심장이나 위가 좋지 않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다. 희노애락의 7 정이 내장의 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황제내경)이 지적하는 바로서 근대 의학이 이제 겨우 이것을 알아차리고 심신 의학을 문제삼기 시작했다. 현대의 스트레스 과잉에 해당된다. 여기서는 취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하늘과 사람의 금기 외에 (땅의 금기) 라고 하는 것이 있다.
사찰 등의 거룩한 장소나, 우물이나, 부뚜막이나, 변소 옆, 무덤이나 관 옆에서 교접하는 것은, 땅의 금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삼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금기들은, 그러한 장소외에서는 안심하고 천천히 즐길 수 있으므로 너무 성을 유희화 해서는 안된다는 가르침이다. 현대의 무드 조성에 해당된다.
네째의 금기사항은 소변 직후라고 하는 것은 본래 몸이 쇠약해 있던가, 병자라는 전제하에서 말한 것이다. (옥방비결)의 수태에 대한 (7 상의 금기)에 네째 금기로 소변을 막 하고 나서 정기가 진해 진 채 음양을 화합하면 맥이 결체하므로 그때 수태된 아이는 반드시 요절한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도 같은 이치이다. 다음에 모두 일곱 가지 금기사항이 열거되어 있는바 수태의 이론으로서도 건강상으로도 현대인이 자칫 잊게 마련인 지식을 설명하고 있다.
소녀는 남성의 성의 질환으로서 五로, 六극, 七상, 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고
대답하고 그 가운데 7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그 외에 五로·六극에 대해서는 분명치 않지만, 여러가지 생리적 증세를 예로 들고 있어 쉽게 추측할 수가 있다.
성기의 병은 같은 요도염이라도 요도에서 들어오는 경우가 있고, 감기나 편도선염의 균이 혈액에 의해서 옮겨져 성과는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고, 자신도 모르게 만성병이 되어 치료를 오래 끌게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러한 점에서 한방약은 한 종류 뿐이 아니고 여러가지 생약을 한데 모아 처방한다. 여기서도 냉수나 날 것등을 금하고 있는데 이것은 약효를 높이기 위한 것과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한 배려인 것이다.
서양 의학은 병에 따라 약을 조제하기 때문에 병이 날때는 잘 낫지만 그대신 다른 곳이 해를 입게 되어 약의 부작용에 의해서 일어나는 병이나 증상이 많고,피부과 외래 환자의 반수는 약의 부작용이 나타난 환자로서 현대병이 되고만 의원병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한방은 약을 중심으로 하여 병이나 증상에 맞추어 적용되는 조치를 취한다. 서양 의학의 의원병이 문제가 되면서부터 한방의 치료법이 주목되고, 동양 의학의 심신 의학이 주목받게 된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이다. 본문으로 되돌아서서 다시 황제의 물음이 시작된다.
여름철의 3개월과 가을 3개월 겨울철의 3개월간에는 어떤 약이 좋은가 하고 묻자 고양부는 각 계절에 듣는(보신 복렁환)의 2종의 처방 및 (수명 복령환)의 처방을 대답했다.
출처 : 바다愛산愛
글쓴이 : jambau 원글보기
메모 :
'ever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독계산 (0) | 2013.03.10 |
---|---|
[스크랩] 익다산 (0) | 2013.03.10 |
[스크랩] 보신환 (0) | 2013.03.10 |
[스크랩] 체질 진단 (0) | 2013.03.10 |
[스크랩] 음식 궁합 (0) | 201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