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많은 돈을 들여도 지구는 돈으로 살릴 수 없다는 사실. 지금 이 순간! 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 한 번쯤 눈을 감고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상상해 보자. 대체로 지구본에 그려진 모습 그대로를 상상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그 안으로 들어가 전 세계 국가에서의 모습을 상상하면 어떨까. 아직도 기아에 허덕이고 있는 아프리카, 무리한 벌목으로 자연재해가 빈발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국가들, 그리고 엄청난 유해물질들을 여과 없이 공기 중으로, 강으로 흘려보내고 있는 중국…. 가만히 앉아 상상하고 있는 이 순간에도 지구는 쉬지 않고 꿈틀대고 있다. 그리고 인간의 쉬지 않는 괴롭힘에 오늘도 힘겨워하고 있다. 과연 지금 이 순간 지구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편집자 주> 인류의 탄생… 지구의 생일이 1월 1일이라고 하면, 인류의 생일은 12월 31일 23시55분이에요.(어린이 지구백서 2003-04) If Earth was born on January 1, the human race was boon on Earth at 11:55 pm on December 31. 지구가 생겨난 때부터 지금에 이르는 약 46억년의 역사를 1년으로 나타낸 것이 ‘지구 달력’이다. 이에 따르면 대지가 생겨난 것은 2월 초순(42억 년 전). 바다가 생겨난 것은 2월 중순(40억 년 전), 인류가 태어난 것은 12월 31일 23시55분(5만 년 전)이다. 문명이 나타난 시점은 12월 31일 23시59분(1만 년 전)이다. 덧붙여 이야기하면 공룡의 시대는 약 2주 동안이었다. 멸종… 1만 년 전에는 100년에 생물 1종이 사라지고 1000년 전에는 10년에 생물 1종이 사라지고 100년 전에는 1년에 생물 1종이 사라지고 현재는 1일에 생물 100종이 사라지고 있어요.(N. 마이어스 ≪가라앉는 조각배≫) 10,000 years ago, one species became extinct every 100 years. 1,000 years ago, one species became extinct every 10 years. 100 years ago, one species became extinct every year. Nowadays, about 100 species are becoming extinct every day. 유엔환경계획이 집계한 한 자료에 따르면 하루에 대략 150~200가지 동·식물이 지구에서 사라지고 있다. 지구상에 있는 3000만 가지에 이르는 생물 가운데 하나에 지나지 않은 인간 때문에. 인간은 같은 별에 살고 있는 동·식물들과 친구다. 인간이 모든 생물을 생각해 주는 훌륭한 존재가 됐으면 좋겠다. 종이… 버리는 종이 1톤으로 새 종이 1톤을 만들 수 있어요 ≪지구백서 2000-01≫ One ton of used paper can be recycled into one ton of new paper. 원목을 사용하는 대신에 버리는 종이를 재활용하면 대기오염 74%, 수질오염을 35% 줄일 수 있다. ≪지구백서 2004-05≫ 버리는 종이 1톤을 재활용하면 나무 20그루를 베지 않아도 된다. 환경NPO(Non-Profit Organizations) 사무국 ≪우리들의 종이 재활용≫ ≪WLRNQORTJ 2004-05≫에 따르면 세계 종이의 3분의 1이 미국이라는 한 나라에서 소비되고 있다. 미국인 1인당 연간 사용량이 300kg을 넘고 있다. 이것은 1인당 사용량이 인도(4kg)에 견줘 75배, 아프리카 20개 나라(1kg 이하)에 견줘 300배 이상이라는 말이다. 종이 사용량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일본도 1인당 연간 사용량이 250kg으로, 아프리카 20개 나라에 사는 사람에 견줘 250배 이상을 소비하고 있다. 독일의 켈러가 1840년에 현재의 제지법을 발명했지만 일본은 나라시대(710~794년), 헤이안시대(794~1192년)에 이미 종이를 재활용했다고 한다. ≪친환경 상품 2003≫ 재생지 카탈로그 비닐가방… 세계 전체적으로 2002년에 4~5조 개의 비닐봉지가 생산됐어요. (화학물질시장협회 추정치) An estimated 4~5 trillion plastic bags are manufactured each years\(2002). 2002년 1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비닐봉지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아주 강력하게 비닐봉지 제조업자들에게 높은 가격을 매기도록 했다. 그 결과 비닐봉지 사용량이 90%나 줄어들었다. 2002년 3월 아일랜드에서는 비닐봉지 하나에 15센트씩 세금을 매겼으며, 그 결과 사용량이 95%나 줄어들었다. ≪지구백서 2004-05≫ 4~5조 개의 비닐봉지 가운데 80%를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소비하고 있다. 미국에서만도 한 해 1조 개를 소비하고 있다. 비닐봉지는 원래 원유, 천연가스 등을 원료로 만들어진다. 요즘은 녹말과 같은 성분을 이용해 땅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자연분해 플라스틱도 생산되고 있다. 자연분해 플라스틱은 식기·모종용 컵 등으로 사용되며, 나중에 미생물이 분해할 수 있어서 음식물처럼 거름으로 쓰일 수도 있다. 아직까지는 자연분해 플라스틱이 4~5조 개 가운데 1%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지만 머지않아 지구를 더럽히지 않는 이런 제품이 주류로 자리 잡을 것이다. 자연 에너지… 1992년부터 2001년에 이르는 10년 사이에 세계에서는 바람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량은 10배 이상, 햇빛을 이용한 발전량은 7배 늘어났어요. ≪지구백서 2003-04≫ For the 10 years between 1992 and 2001, the energy productde using wind increasde more than 10 times, and electricity generated using sunlight increased 7 times. 지구 전체에서 바람을 이용한 전기 생산량은 2001년에 2490만KW다. 전년도와 비교해 680만KW가 늘어난 것이다. 1996년 이후 세계의 태양전지 생산량은 연평균 33%씩 늘어나고 있다. 자연에너지 시장 규모는 2001년 10조50억원을 넘어섰고, 2010년에 이르면 그 8배 이상인 85조10억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 ≪지구백서 2003-04≫ 유럽은 세계 풍력 발전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독일·덴마크·스페인은 자국 내 전력 수요의 20% 이상을 풍력 발전으로 조달하고 있다. ≪어린이지구백서 2003-04≫ ≪지구백서 2003-04≫에 따르면 해마다 태양은 인류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의 1만 배가 넘는 에너지를 지구에 계속 보내주고 있다. 또 ≪어린이지구백서 2003-04≫에 따르면 육지의 풍력만으로도 현재 세계 전력소비량의 4배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2002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요하네스버그 정상회의를 통해 대기를 더럽히지 않는 안전한 자연에너지를 바라는 목소리가 지구 전체에 울려 퍼지고 있다. 전력 수요가 절정에 다다르는 한여름에도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발전이 세계의 기대와 주목을 받고 있다. 자연에너지는 바람·햇빛 이외에도 물·지역·바닷물 등을 이용해 생산할 수 있다. <지구의 날은…> 1970년 4월 22일 미국에서 2000만 명의 자연보호론자들이 모여 최초의 대규모적 자연보호 캠페인을 전개했다. 이날을 기념하기 위해 4월 22일을 지구의 날로 제정하고 전 미국의 자연보호주의자들은 미국 전역에서 자연의 보호와 관리, 환경오염과 생태계파괴 등에 대해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벌이고 있다. 더 나아가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차원을 넘어 전 인류에 호소하는 운동으로 퍼지고 있다. 1990년에는 미국 환경보호단체들이 세계 150여 개국에 지구의 날 행사를 제안해 한국에서도 YMCA·YWCA·공해추방운동연합·천주교정의평화위원회·한살림모임 등 8개 단체가 지구의 날을 공동 추진해 환경에 대한 시민의식을 높이는 행사를 한 바 있다. *출처: (주)환경일보 |
출처 : Attaboy
글쓴이 : Attaboy 원글보기
메모 :
'환경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갈색얼가니새, 국내첫촬영 (0) | 2006.04.20 |
---|---|
[스크랩] 남산 생태계가 살아난다 (0) | 2006.04.19 |
[스크랩] 10만년 주기로 변하는 지구먼지의양 (0) | 2006.04.17 |
왜가리의 봄맞이 (0) | 2006.04.15 |
[스크랩] 생활소음과 그 영향 (0) | 2006.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