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소식

방사선과 방사능-'천지차이'

바다애산애 2006. 7. 29. 06:19
위해성 없어… 52개국서 조사 허가해
10kGy로 조사된 식품, 전혀 하자 없어
전문지식 부족한 국민이 오해하는 것

식품·의료·제약·화장품 등 공중보건 관련 제품에 위해요소를 사전 차단할 수 있다고 알려진 ‘방사선 기술(RT)’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날로 악화되는 가운데 각계 전문가들이 안정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밝혀 눈길을 끈다.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방사선하면 지레 겁을 먹기 마련이다. 체르노빌 사건, 기형아 등을 떠올리면서 말이다. 이는 방사능 동위원소(우리가 알고 있는)와 방사선은 완전히 다른 것이지만 전문지식이 없는 국민들은 오해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변명우 한국원자력연구소 부장은 “방사선 조사식품과 방사능 오염식품은 전혀 다른 것”이라며 “방사선 조사식품에서는 특별한 화합물질이 검출되지 않고 방사능도 유발되지 않아 위해성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한상배 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관리단 위해기준팀장은 “방사선 조사식품의 안전성과 기술적 타당성은 이미 입증됐다”며 “세계 52개국에서 250여 종의 식품군에 대해 방사선 조사를 허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수영 아주대 교수도 “1992년 제네바 회의를 통해 방사선 조사는 건강에 해로움을 초래하는 변화를 생성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며 “10kGy 이하의 선량으로 조사된 식품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단체 ‘관리 허술·홍보 부족’ 지적

문제는 방사선 조사식품의 허가품목 및 관리규정이 국가별로 상이하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소비자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고 거부감을 조장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누가 어떻게 관리하는지, 정말로 안전한지 등 누구 하나 소비자에게 말해주는 사람이 없다는 주장이다.

김천주 대한주부클럽 회장은 “안전하다고는 하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안전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가 없다”며 “10kGy로 쏘이면 안전하다고 하지만 그 이상은 정말 안전한지 등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홍보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안전하다고만 말하지 말고 소비자에게 하나하나 설명해야 한다”며 “사건만 터지면 모두 식약청과 관련된 사안인데 소비자는 식약청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한상배 팀장은 김 회장의 주장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안전성 의심은 막연한 불안에서 나오는 것”이라며 “100% 안전한 식품은 없다. 하지만 그렇게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 팀장은 방사선 조사식품의 관리에 대해 “표시규정의 준수와 조사식품의 엄격한 관리가 요구돼야 할 것”이라며 “방사선 조사식품의 검지방법이 확립되면 당국의 관리·감독도 쉬어지고 소비자의 신뢰도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환경일보